본문 바로가기

제주도

좌보미오름의 가을 ▲ 오름의 위치 좌보미오름은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지경의 오름으로, 성읍리 마을에서는 멀리 떨어진 북쪽편 금백조로변에 위치해 있다. 좌보미알오름은 좌보미오름의 남동쪽편에 좌보미오름의 한 봉우리처럼 붙어있는 낮지막한 오름이며, 이 오름 일대는 대부분 표선면 공설묘지로 조성되어 있다. ▲ 이름의 유래 오름에 여러 봉우리들이 있어서 좌우의 봉우리들이 서로 의지하는 형태라 하여 ‘좌보메’라 하고, 오름의 모양이 호랑이가 앉아있는 형태라 하여 ‘좌범이(左虎)’라고 불리던 것이 ‘좌보미’로 변형되어 불린다고 한다. 한자 표기로는 ‘좌보악(左輔岳)’, ‘좌보산(左甫山)’, ‘좌부악(左釜岳)’, ‘좌부미(左付尾)’ 등 여러 가지로 쓰고 있다. ▲ 오름을 찾아가는 길 첫째, 좌보미오름의 주소지인 성읍리 마을에서 가는 .. 더보기
천주교인들의 맑은 마음의 위안처인 새미오름 ▲ 오름의 위치 새미오름은 한림읍 금악리 지경의 오름으로, 이시돌 목장의 성이시돌요양원과 삼위일체대성당 북쪽편에 위치한 야트막한 오름이다. 이 오름의 굼부리는 화구호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화구호를 이루고 있는 연못을 ‘삼뫼소’라고 하고, 삼뫼소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능선을 새미오름이라고 한다. ▲ 이름의 유래 이 오름의 넓고 둥근 굼부리 안에 화구호로 형성된 큰 연못이 있는데서 연유하여 ‘새미오름’이라하며, ‘삼뫼소’라는 연못의 이름을 오름의 이름으로 그대로 써서‘삼뫼소’, 또는 ‘새미소’라고 하기도 한다. ▲ 오름을 찾아가는 길 첫째, 제주 시내 방향에서 찾아올 경우, 평화로를 따라 오다가 평화로와 산록남로가 만나는 광평교차로에 이르기 전 ‘저지, 금악’ 방향을 가리키는 표지판을 따라 평화로의 곁길로 .. 더보기
한라수목원과 광이오름 ▲ 광이오름의 위치 제주시 연동 지경에 위치해 있다, 이 오름의 서쪽에는 한라수목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 오름의 일부는 한라수목원에 포함되어 있다. 상여오름과 남조순오름(남짓은오름)은 각각 남쪽과 북쪽에 광이오름과 연결되어 있다. ▲ 이름의 유래 오름의 모양새가 농기구인 괭이와 비슷하다 하여 괭이의 제주말인 ‘광이’를 써서 ‘광이오름’이라 하며, 괭이의 표준명을 그대로 써서 ‘괭이오름’이라 하기도 한다. 또한 돼지나 소의 간을 늘어놓은 모양과 같다고 하여 한자 표기로 ‘간열악(肝列岳)’이라고도 하며, 간열악과 소리가 비슷하게 표기하여 ‘광렬악(光列岳, 廣列岳)’이라 하기도 한다. ▲ 광이오름을 찾아가는 길 첫째, 제주시 연동에 위치한 한라수목원을 찾아간 후에 수목원 안의 잔디광장 동쪽 부분이 광이오름 .. 더보기
우도 둘러보기, 그리고 등대박물관 6월 12일 토요일, 내가 소속되어 있는 어느 단체에서 오전에는 성산포에서 세미나를 하고, 오후에는 우도에 갔다. 버스로 한 바퀴 우도를 돌면서 쇠머리오름(우도봉)에 오르기도 하고, 검멀레 해안이 바라보이는 곳에서 해안 경치를 구경하기도 하고, 섬 서쪽 편의 산호모래 해수욕장인 서빈백사를 구경하기도 하면서 짧은 시간 동안에 우도를 돌았다. 짧은 시간 동안에 주마간산 식으로 둘러보았지만 전에 몇 번 와서 여기저기를 자세히 둘러보았던 적이 있었기 때문에 아쉽지는 않았다. 그 짧은 시간 동안이만 다니면서 찍은 사진들을 여기 올려 본다. 아래 사진들은 쇠머리오름을 오르는 길에 설치해 놓은 세계 유명 등대들의 모형이다. 등대 모형들을 하나하나 보며 쇠머리오름을 오르는 길에 시간이 부족하여 더 자세히 볼 수는 없었.. 더보기
섶섬 기슭엔 전설이 살고 있다. 2010년 6월 11일 열린 제 11회 보목 자리돔축제 개막식에서 직접 지어 낭송한 축시를 소개한다. ※ 1. 아래 사진은 자리돔으로 만든 물회와 강회의 모습이다. 2. 축시에 쓴 [섶섬]은 자리돔 축제가 열리는 마을인 서귀포시 보목동 앞의 섬이름이다. 섭섬, 삼도라고도 불린다. 3. 볼래낭개는 보목 마을의 옛 지명으로 "보리수나무(볼래낭)가 많은 포구"란 뜻이다. 지금도 옛 이름인 볼래낭개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섶섬 기슭엔 전설이 살고 있다. 꿈꾸는 아이 한 천 민 남쪽바다 푸른 빛 감돌아 흐르는 섶섬 기슭 볼래낭개 마을에 잔치가 열린다. 척박한 땅을 일구며, 거친 바다밭을 일구며 자리가시같이 억척스럽게 살아온 볼래낭개 사람들 한여름 땡볕 아래 검질 매다가 자리 테우 들어오는 소리 들리면 모여드는 사.. 더보기
보목 자리돔 축제의 모습들 내 고향 서귀포시 보목마을에서는 해마다 5월, 또는 6월이면 자리돔 축제가 열린다. 자리돔은 제주도 근해 바다에 사는 작은 물고기로 크기는 10cm 정도 되며, 한 지역에서 무리 지어 살아가는 어종이다. 특히 보목 마을 앞바다에서 잡히는 자리돔은 크기가 그리 크지 않고 가시가 연해서 물회나 강회를 해서 많이 먹으며, 보목 마을은 포구 근처에 자리회를 하는 식당들이 많이 있어서 “자리돔” 하면 “보목 마을”이라고 할 정도로 유명한 마을이다. 그래서 보목 마을에서는 11년 전부터 자리돔축제를 열어왔는데, 금년이 11년 째이다. 금년 자리돔 축제는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열렸는데, 11일 저녁에 개막식이 열려서 행정기관과 지방 정치인 등 많은 인사들이 참석하여 성황리에 개막식이 열렸다. 비가 흩뿌리는 날씨.. 더보기
자연사랑갤러리에서의 체험학습, 그리고 따라비오름 ▲ 따라비오름의 위치 따라비오름은 서귀포 표선면 가시리 지경의 오름으로, 가시리 마을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 오름으로는 모지오름, 장자오름, 새끼오름, 큰사슴이, 족은사슴이, 번널오름, 병곳오름, 설오름 등이 멀고 가깝게 있다. ▲ 이름의 유래 따라비오름의 어원은 그 지역의 대표적인 오름을 뜻하는 것으로‘땅할아버지(땅할애비)’라는 뜻이 변형된 이름이며, 따래 비, 땅하래비라고도 불린다. 따라비오름 근처에는 어머니오름을 뜻하는‘모지오름’, 큰아들을 뜻하는‘장자오름’, 작은아들은 뜻하는‘새끼오름’이 있으며, 손자를 뜻하는‘손지오름’은 멀리 떨어진 동쪽 용눈이오름 앞에 있는데, 공부하기 위해서 멀리 유학 가 있다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다른 설로는 ‘높다’는 뜻을 가진 고구려 말의 ‘다라(達乙)’와.. 더보기
올레길 9코스 걷기 지난 지방선거날인 6월 2일, 아침 일찍 투표를 마치고 올레길 걷기에 나섰다. 지난번에 7코스와 8코스를 걸었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9코스를 가볼 요량이었다. 9코스는 대평포구에서 화순항구의 화순선주협회사무실 앞까지이다. 작고 아름다운 포구인 대평포구를 출발하여 박수기정을 지나고 몰질을 지나 볼래낭길을 거쳐 황개천을 건넌 다음 화순화력발전소 뒤쪽을 경유해서 화순항구의 입구에 있는 화순선주협회 사무실까지 가는 코스다. 또 이 코스는 황개천 입구에서 화순선사유적지를 거쳐 진모르동산을 지나서 가세기마을로 갔다가 화순 입구 사거리에서 임항도로를 거쳐 화순선주협회 사무실로 가는 두 갈래 코스로 만들어져 있기도 하다. 9코스 종점인 화순 선주협회사무실로 먼저 차를 몰고 가서, 거기 주차장에 차를 세워놓고 택시를 타고.. 더보기
제일 좋아하는 오름 중의 하나인 영아리 ▲ 영아리오름의 위치 영아리오름은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 지경의 오름으로, 산록남로변의 광평리 마을에서는 동쪽편에, 핀크스 골프장에서는 북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 이름의 유래 영아리라는 이름의 오름은 남원읍에 있는 물영아리와 그 북쪽의 여문영아리, 안덕면에 있는 영아리 등 세 개가 있다. 그 중에 이날 간 영아리는 안덕면 상천리 지경의 영아리이다. 오름 전문 홈페이지인 『오름오르미』에서는 [영아리]라는 이름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여기 그대로 옮겨 적는다. 「용이 누운 형체인 용와이악(龍臥伊岳)에서 영아리로 와전되었다는 설과, 아리가 만주어로 그 의미가 산(山)이니 영산(靈山), 즉 신령스러운 산으로 풀이하는 설이 있다. 일반적으로 후자에 그 비중을 더 두고 있다. 한자로 대역하여 영아리악(靈阿.. 더보기
이중섭거리, 그리고 청소년 축제 토요일, 학교가 끝나고 돌아오는 길에 차를 조금 손봐야 될 부분이 있어서 서귀포 시내의 카센터에 들렀다. 그런데 수리를 마치려면 두 시간 정도 걸린다고 하여 마냥 거기서 기다릴 수가 없어서 근처의 이중섭 거리를 찾았다. 전부터 이중섭 거리와 이중섭 거주지, 이중섭 미술관을 블로그에 소개하고 싶었는데, 잘 되었다 싶었다. 이중섭은 일제의 암울했던 시절과 6.25전쟁의 참혹한 시기, 그리고 그 이후에 활동했던 화가이다. 그는 6.25 전쟁이 일어나자 제주도로 피난을 와서 서귀포에서 약 1년 여간 거주하였다. 그가 거주하던 곳이 현재 이중섭거리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초가집이다. 이중섭은 피난 시절인 이 시기가 그의 인생에서 가장 어려웠던 시기 중의 한 시기이기도 했었던 것 같다. 그러나 그는 그 어려웠던 피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