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썸네일형 리스트형 내 고향 길을 다시 걸은 올레6코스 내 고향은 서귀포시 보목 마을이다. 거기서 태어나고 어린 시절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살았던 곳이다. 지금은 서귀포 시내 근처의 다른 곳에서 살고 있지만, 매주 교회는 고향 보목교회에 간다. 고향 보목 마을은 거기를 고향으로 둔 내가 팔이 안으로 굽어서 자랑하는 것 같지만 제주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일 것이라고 스스로 자부해 본다. 지금은 코스 이름이 변경되어서 6코스 중에 들어있지만, 원래 올레길을 시작한 분들이 맨 처음 올레길을 시작할 때에는 보목마을에서부터 올레길을 시작하여 1코스였던 곳이기도 하다. 고향인데다 너무 자주 가는 곳이어서 작은 골목, 어디는 누구네 집이라는 것까지 세세히 알고 있어서 올레길이 보목 마을로 지나간다고 했어도 다른 길부터 먼저 걸었고 고향으로 지나가는 올레길은 관심 밖이었다.. 더보기 섶섬 기슭엔 전설이 살고 있다. 2010년 6월 11일 열린 제 11회 보목 자리돔축제 개막식에서 직접 지어 낭송한 축시를 소개한다. ※ 1. 아래 사진은 자리돔으로 만든 물회와 강회의 모습이다. 2. 축시에 쓴 [섶섬]은 자리돔 축제가 열리는 마을인 서귀포시 보목동 앞의 섬이름이다. 섭섬, 삼도라고도 불린다. 3. 볼래낭개는 보목 마을의 옛 지명으로 "보리수나무(볼래낭)가 많은 포구"란 뜻이다. 지금도 옛 이름인 볼래낭개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섶섬 기슭엔 전설이 살고 있다. 꿈꾸는 아이 한 천 민 남쪽바다 푸른 빛 감돌아 흐르는 섶섬 기슭 볼래낭개 마을에 잔치가 열린다. 척박한 땅을 일구며, 거친 바다밭을 일구며 자리가시같이 억척스럽게 살아온 볼래낭개 사람들 한여름 땡볕 아래 검질 매다가 자리 테우 들어오는 소리 들리면 모여드는 사.. 더보기 서귀포시의제21협의회 환경의 날 행사 6월 5일은 환경의 날이다. 서귀포시의제21협의회에서 환경의 날을 맞아 서귀포 이중섭문화의 거리에서 환경의 날 관련 행사를 열었다. 학교 근무하는 토요일이라 오전 근무를 마치고 행사를 하고 있는 곳으로 갔다. 의제 회원들이 세 개의 부스를 만들어 활동을 하고 있었다. 자연물을 이용한 향기 주머니 만들기 코너에서는 쑥, 인진쑥, 로즈메리 등 허브를 이용하여 향기 주머니 만들기를 하고 있었다. 나만의 손수건 만들기 체험 코너에서는 환경 손수건을 만드는 활동을 하고 있었다. 또,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나의 화분 만들기 체험코너에서는 테이블야자와 금사철을 화분에 심어서 가져갈 수 있도록 해 주고 있었다. 그 옆에서는 서귀포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을 주제로 공모한 입상작품이 전시되어 있었다.(이 전시작품은 내가 .. 더보기 이중섭거리, 그리고 청소년 축제 토요일, 학교가 끝나고 돌아오는 길에 차를 조금 손봐야 될 부분이 있어서 서귀포 시내의 카센터에 들렀다. 그런데 수리를 마치려면 두 시간 정도 걸린다고 하여 마냥 거기서 기다릴 수가 없어서 근처의 이중섭 거리를 찾았다. 전부터 이중섭 거리와 이중섭 거주지, 이중섭 미술관을 블로그에 소개하고 싶었는데, 잘 되었다 싶었다. 이중섭은 일제의 암울했던 시절과 6.25전쟁의 참혹한 시기, 그리고 그 이후에 활동했던 화가이다. 그는 6.25 전쟁이 일어나자 제주도로 피난을 와서 서귀포에서 약 1년 여간 거주하였다. 그가 거주하던 곳이 현재 이중섭거리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초가집이다. 이중섭은 피난 시절인 이 시기가 그의 인생에서 가장 어려웠던 시기 중의 한 시기이기도 했었던 것 같다. 그러나 그는 그 어려웠던 피난.. 더보기 하원동 [탐라왕자묘]를 소개합니다. 서귀포시 하원동 탐라왕자묘에 대해 소개한다. 신서귀포 강창학운동장 앞에서 중산간도로를 이용하여 탐라대학교 방향으로 가다 보면 도순 다리가 있고, 도순다리에서 약 830m를 더 가면 도로변에 [하원동 탐라왕자묘]라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안내판이 있는 곳에서부터 올라가기 시작하는 좁은 농로를 따라 550m를 가면 내를 건너는 작은 다리가 나온다. 다리를 지나 계속 올라가면 중산간도로 표지판에서부터 1.75km 쯤 되는 지점에 [탐라왕자묘]의 주차장이 있다. 주차장에는 커다란 안내판이 세워져 있고 주차장 남쪽의 풀밭을 따라 내려가면 곧바로 탐라왕자묘 3기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곳의 탐라왕자묘는 탐라국 시대의 성주나 왕자의 묘로 추정하고 있는데, 누구의 것인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더보기 2010년 詩로 봄을 여는 서귀포 우리나라에서 봄이 가장 먼저 오는 곳은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서귀포다. 서귀포에서부터 시작된 봄의 따뜻한 바람은 유채꽃, 목련, 개나리, 진달래, 벚꽃들의 고운 빛깔과 향기를 싣고 한라산을 넘어 제주시로, 그리고 다시 제주해협을 넘어 육지로 봄소식을 전해주곤 한다. 서귀포문인협회에서는 해마다 봄이 오는 길목인 2월 말에 남쪽 바다에서부터 바다를 건너오는 봄을 맞이하기 위해서 [詩로 봄을 여는 서귀포] 행사를 갖는다. 2010년 올해는 이 행사가 벌써 11년째를 맞이하였다. 2월 27일 토요일. 詩로 봄을 여는 서귀포 행사가 있는 그날은 마침 봄을 재촉하는 비가 촉촉이 내리고 있었다. 서귀포문인협회 회원들은 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西歸浦七十里詩公園]에 모여 바다를 건너오는 봄을 맞이하기 위해 서귀포항구로.. 더보기 학수바위, 혹은 각시바위 ▲ 학수바위의 위치 학수바위는 서귀포시 호근동 지경의 오름으로, 호근 마을 북쪽의 중산간서로와 산록남로 중간 쯤에 위치해 있으며, 고근산에서 바라보면 북동쪽에 있는 오름이다. ▲ 이름의 유래 “학수바위”는 학이 머리를 들고 날개를 펼치며 날아오르는 형상이라 하여 학의 머리라는 뜻으로 “학수바위”라 부르기도 하고, 이 근처의 절에서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치성을 드리던 양가집 새각시가 이 오름의 바위에서 떨어져 죽었다 하여 “각시바위”라 부르기도 한다. ▲ 학수바위를 찾아가는 길 학수바위로 올라가는 길은 신서귀포 북쪽의 중산간서로를 따라 서홍동으로 가는 길의 서호동 입구에서 조금 동쪽에 S-Oil 주유소가 있고, 거기서 다시 동쪽으로 350미터를 가면 북쪽으로 올라가는 소로를 만나게 된다. 그 길을 따라 .. 더보기 논짓물과 갯깍 서귀포시 예래동 바닷가에 가면 논짓물이라는 곳이 있다. 논짓물이라는 뜻은 노는 물, 즉 식수나 농업용수로도 사용되지 못하고 그냥 버려지는 물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런데 옛날에는 그냥 버려졌던 물이 지금은 훌륭한 자원이 되어 사람들의 쉼터가 되고 있다. 예래동에서는 논짓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바닷가에 장방형의 큰 둑을 만들어 해수욕장으로 이용하도록 조성했다. 그래서 장방형의 해수욕장에는 밀물 때면 바닷물도 들어오고, 썰물 때는 지하수로 흘러들어온 담수가 들어와서 서로 섞여서 해수와 담수가 어울어진 해수+담수욕장이 되었다. 수영을 하고 몸을 헹굴 수 있는 시설도 남탕과 여탕으로 마련되어 있고, 운동기구도 갖추어져 있어서 여름철의 수영을 즐기는 외에도 계절에 관계없이 지역 주민들의 산책과 .. 더보기 새섬과 새연교 2009년 9월 28일 서귀포 항구 앞의 새섬과 뭍을 연결하는 멋진 다리가 만들어져서 개통식을 하였다. 다리의 이름은 "새연교" 새섬연결보도교라는 뜻이다. 새연교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추진하는 서귀포 관광미항 개발사업의 첫번째 사업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서귀포 항구 서쪽편 유람선 선착장 옆에서 새섬까지를 아취형 모양의 다리로 만들어서 차량은 다니지 못하고 사람들만 걸어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새섬에는 산책로를 만들어서 섬을 한 바퀴 돌 수 있도록 하였다. 나는 새연교의 개통식이 끝난 9월 28일 밤에 새연교 앞에 가서 조명이 은은히 비추는 다리의 모습을 찍고, 10월 2일 추석 전날에는 육지에서 추석을 쇠러 내려온 친구들과 함께 새연교를 건너 새섬을 한 바퀴 돌며 산책로를 걸었다. 참 멋진 풍광이었.. 더보기 쇠소깍 쇠소깍은 서귀포시 하효동과 남원읍 하례리 사이를 흐르고 있는 효돈천의 하류에 물이 많이 고여 있는 큰 웅덩이로 이루어진 계곡을 가리킨다. 쇠소깍의 물은 건천인 효돈천의 하류인 이곳의 암반 사이에서 많이 솟아나와 큰 웅덩이를 이루다가 밀물 때는 바닷물이 웅덩이 안으로 들어와서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기도 하는 곳이다. 주변의 절벽은 수목이 울창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고 있으며, 쇠소깍의 바깥쪽 바닷가에는 검은 모래로 이루어진 작은 해변인 소금막해수욕장이 있어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쇠소깍]이라는 이름은 제주말로 [쇠]는 효돈마을을 의미한다. (효돈은 하효동과 신효동을 아울러 이르는 말임) [소]는 연못을 의미하고, [깍]은 끝을 의미하는 말이므로 [쇠소깍]은 "효돈마을의 끝에 있는 연못"이라는 뜻이다.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