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름을 찾아서/서귀포시 동부권의 오름들

독자봉수가 있었던 오름 독자봉 탐방

독자봉의 위치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지경의 오름으로, 신산리사무소에서는 북서쪽 방향으로 직선거리 약 2.3km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이 오름의 서쪽편에는 일출랜드가 있다. 도로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성산읍 수산리에서 삼달리를 거쳐 표선면 성읍리를 연결하는 중산간동로의 중간 지점쯤에 있다. 이 오름의 북쪽에는 통오름이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통오름과 이 오름으로 제주올레 3코스가 지난다.

 

이름의 유래

이 오름의 주소지는 신산리이나 마을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외롭다고 하여 독자봉(獨子峰)’, 혹은 독산(獨山)’이라 하기도 하며, ‘독지오름’, ‘독지망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옛날에 봉수대가 있었다 하여 망오름이라고도 한다. 이 외에도 사자가 웅크린 모양이라고 하여 사자봉(獅子峰)’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름에서는 외로워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나, 실제로 이웃하고 있는 북쪽에 통오름이 있어서 외롭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 오름이기도 하다.

 

독자봉을 찾아가는 길

첫째, 성산읍 신산리 마을의 신산초중학교 북동쪽 신산 교차로 오거리에서부터 북서쪽으로 독자봉로를 따라 약 2.1km를 가면 독자봉 입구 등반로가 시작되는 지점에 이르며, 등반로를 따라서 제주올레 3코스가 이어지기도 한다.

 

둘째, 중산간동로와 독자봉로가 만나는 통오름과 독자봉 사이의 땅콩모양 로터리에서부터 남동쪽으로 약 360m를 가면 독자봉 입구 등반로가 시작되는 지점에 이른다.

 

오름을 오르며

통오름에서 내려와 독자봉 북동쪽 기슭을 따라 신산리 방향으로 향하는 독자봉로를 따라서 독자봉으로 향했다.

독자봉 서쪽 기슭에 이르니 오름 위로 올라가는 등반로가 시작되고 있었고, 이 등반로는 제주올레 3코스 중의 일부분이기도 하였다.

 

등반로를 따라 천천히 독자봉으로 올라갔다

등반로는 올레꾼들이 많이 다녀서 그런지 길이 뚜렷하게 나 있었고, 등반로가 훼손되지 않도록 부분 부분 나무 계단을 만들어 놓는다거나 폐타이어 길을 깔아놓는다거나 하여 보호되고 있었다.

 

독자봉을 오르니 정상에는 봉수대 터가 목책으로 둘러싸여 보호되고 있었고 올레길은 봉수대 터 옆을 돌아서 가게 만들어져 있었다.

 

봉수대 주변에는 가을의 전령인 쑥부쟁이가 소담스럽게 피어 있어서 내 눈길을 잡아끌었다.

 

봉수대 근처에서부터는 남동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이어지고 있었다.

처음 독자봉에 올라오는 길은 나무들이 빽빽이 우거지지 않고 듬성듬성 있어서 전망을 조금씩 보면서 올라올 수 있는 길이었는데, 남쪽으로 내려가는 길은 나무들이 빽빽이 우거져서 전망을 볼 수 없었다. 그 대신 나무들이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고 차가운 바람을 막아주어서 아늑하고 포근한 느낌을 주었다.

 

남쪽으로 내려가는 도중에 길이 두 갈래로 갈라져서 한쪽은 독자봉의 동쪽 등반로 입구로 향하도록 되어 있고, 다른 쪽은 올레길이 이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향긋한 나무향이 나는 독자봉 숲속의 올레길을 따라 오름의 남서쪽으로 내려온 후에 올레길을 계속 걸었다.

걸어가다가 뒤돌아서 다시 바라본 독자봉이 파란 하늘 아래 초록빛 울창한 숲을 입고 앉아 있었다.

 

위치 :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지경

굼부리 형태 : 말굽형(남동쪽)

해발높이 159.3m, 자체높이 79m, 둘레 2,122m, 면적 201,388

 

 

오름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