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산봉의 위치
남산봉은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 지경의 오름으로, 표선면 성읍리에서 중산간동로를 따라 성산읍 삼달리 방향으로 가는 중에 남산천을 지나면 도로 남쪽으로 곧바로 보이는 오름이다.
남산봉은 성산읍 신풍리 지경에 속해있지만, 거리상으로는 신풍리 마을보다는 표선리 마을에서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오름이다.
▲ 이름의 유래
조선시대 때 정의현(旌義縣)의 현청이 현재의 표선면 성읍리인데, 성읍리에서 보았을 때 이 오름이 남쪽에 있었음으로 인해(실제 방위로는 정의현청인 일관헌에서 볼 때 남동쪽 방향임) ‘남산(南山)’이라 불렸으며, 이 오름에 봉수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하여 ‘남산봉(南山峰)’이라 불리게 되었다. 또한 봉수대에서 망을 보았던 곳이라 하여 ‘망오름’이라고도 부른다.
이 오름에 설치되었던 남산봉수(南山烽燧)는 동쪽의 독자봉수(獨子烽燧), 남쪽의 달산봉수(達山烽燧)와 교신하였다고 하며, 지금도 정상부에는 남산봉수 터가 남아있다.
▲ 남산봉을 찾아가는 길
첫째, 표선면 성읍리의 성읍1리사무소 앞 성읍민속촌 교차로에서부터 중산간동로를 따라 동쪽으로 약 1km를 가면 남산교 다리에 이른다. 다리 동쪽편에서 냇가를 따라 이어진 소로를 따라 남쪽으로 약 690m를 가면 오름 서쪽의 삼거리에 이르고, 여기서 동쪽으로 꺾어들어 오름 남쪽 기슭을 따라 이어지는 소로를 따라 약 380m를 가면 남산봉 등반로 입구에 이른다.
둘째, 성산읍 신풍리의 신풍리사무소 앞 사거리에서부터 풍천로를 따라 북쪽으로 약 450m를 가서 신풍교차로 사거리에 이르면, 북서쪽 방향으로 이어지는 남산봉로를 따라 계속 진행하여 약 3km를 가면 신풍레포츠공원 북쪽 삼거리에 이른다. 여기서 서쪽으로 꺾어들어 약 520m를 가면 남산봉 등반로 입구에 이른다.
▲ 오름을 오르며
봄의 한가운데 들어선 5월 어느 날.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 지경에 있는 오름인 남산봉을 찾아서 길을 나섰다.
등반로 시작점이 있는 오름 남쪽에 이르니 여러 대의 차를 세워둘 만한 넓은 공간이 있었고, 커다란 안내판이 세워져서 이 오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쓰여 있었다.
[남산봉(南山峰, 망오름)
성산읍 신풍리에서 북서쪽 약 3.3km지점에 위치한 오름으로, 예전 정의현(旌義縣) 때에는 성읍리에서 영주산을 뒷산, 남산봉을 앞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산정부에 우묵하게 패어 있는 원형 분화구로 이루어진 오름으로, 북사면의 능선이 낮아서 원형 분화구내로 진입하는 작은 길이 나 있어 쉽게 오르내릴 수 있다. 이 오름은 등성마루가 서쪽 방향으로 부풀어 올라 둥그스름한 작은 봉우리를 이루고, 동쪽 방향에서 솟아오른 봉우리는 그보다 더 크고 높아서 주봉을 이루고 있다. 동쪽 봉우리의 숲가에는 봉수터가 남아있는데, 조선시대에는 동쪽으로는 독자(獨子)봉수, 남으로는 달산(達山)봉수에 응신하며, 정의읍성을 지키는 가장 가까운 봉수대였다고 한다. 남산봉 입구인 화구 북쪽의 도로변에 못이 있다. 원형 분화구의 내부는 전체가 대나무숲을 이루면서 군데군데 보리수나무가 억새와 어우러져 있고 그 외 사면은 북사면 일부를 제외하고 해송이 조림되어 있다.]
계단으로 시작되는 등반로를 따라서 등반을 시작하였다.
등반로가 시작되는 계단 주변에는 소나무와 삼나무와 후박나무 등 여러 가지 수종의 나무들이 뒤섞여 자라면서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고 있었다.
계단길이 곧 끝나고 이어지는 경사가 완만한 길에는 삼나무 사이로 야자매트가 깔려있어서 삼나무에서 나오는 피톤치드를 받으면서 상쾌하게 걸어갈 수 있는 길이었다.
등반을 시작하여 천천히 걸어서 약 10분 쯤 올라가니 갈림길에 이르렀다. 오른쪽은 정상부의 봉수대 터가 있는 곳으로 올라가는 길, 왼쪽은 서쪽 능선으로 올라가는 길. 어느 길로 가든지 결국은 한 바퀴를 도는 길이었지만 나는 먼저 오른쪽의 정상부를 향하여 올라갔다.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약 3분 정도 오르자 동쪽 정상부의 봉수대 터에 이르렀다.
봉수대 터는 흔적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었다.
가운데 둥그스름한 곳을 중심으로 둘레에는 방화선이 둘러져 있었고, 봉수대 유적을 보존하기 위하여 나무 철책이 둘러져서 보호하고 있었다.
이 봉수대는 1439년(세종 21년) 이전에 설치된 조선시대 정의현에 소속된 봉수이며, 별정 6명, 작군 12명이 교대 근무하였다고 한다.
봉수대 동쪽으로는 독자봉, 남쪽으로는 달산봉과 매오름, 남서쪽으로는 토산오름과 가세오름이 있어서 이 오름들에 설치되었던 봉수들과 서로 교신하였다고 한다.
대부분의 봉수대들은 바다가 잘 바라다 보이는 해안에서 가까운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 남산봉수는 해안에서 6.2km나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는데, 그 까닭은 해안 감시를 위한 것이기 보다는 다른 봉수대로부터 연락을 받아서 정의현 성에 연락을 취하기 위한 역할을 했던 봉수대였던 것이다.
현재는 두두룩하게 흙이 쌓여있는 모습으로 되어 있지만, 원래의 모양은 중심부에서 반경 14.3m 거리에 둑을 돌아가면서 방화선 고랑을 두어 이중으로 쌓고, 다시 한 단 높게 반경 16m에, 높이 2.5m의 작은 봉우리 모양으로 토축한 두 겹 원형 봉수대였다고 한다.
봉수대 터를 지나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걸어갔다.
봉수대 터가 있는 정상부에서부터 북쪽으로는 경사가 점점 낮아져서 오름의 정북쪽 능선에 이르러서는 굼부리 둘레의 능선 중 가장 낮은 지역으로 내려가고 있었다.
북쪽편 낮은 능선에 이르니 쉼터 나무 의자가 놓여 있었고, 그 뒤편으로 굼부리 안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보였다.
굼부리 안쪽으로 내려가 보았더니, 안쪽은 전체가 빽빽한 대나무 숲을 이루고 있었다.
대나무숲이 너무 빽빽하여 쉽게 들어갈 수가 없어서 금세 돌아 나와 다시 남쪽으로 향한 등반로를 따라 걸음을 옮겼다.
굼부리 입구에서부터 남쪽으로 이어지는 등반로는 다시 완만한 오르막이었다.
약 10분 쯤 능선을 따라 올라가니 시원한 나무그늘 아래 평상이 놓여있는 쉼터에 이르렀고, 쉼터에서부터 90도 각도로 꺾어 내려가니 곧바로 올라올 때 만났던 갈림길이었다.
시원한 나무그늘을 따라 처음의 등반로 입구로 돌아 나왔다.
처음 올라오기 시작했던 계단길 주변에서 싱싱하게 자라고 있는 후박나무에서는 연둣빛 새 순이 돋고 있었고, 새잎처럼 연둣빛을 띤 조그만 꽃봉오리들이 송알송알 맺혀 있었다.
▶ 위치 :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 지경
▶ 굼부리 형태 : 원형
▶ 해발높이 178.8m, 자체높이 54m, 둘레 1,660m, 면적 185,332㎡
▲ 오름 지도
'오름을 찾아서 > 서귀포시 동부권의 오름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王)자 형국을 띤 오름이라고 하는 큰왕메 탐방 (0) | 2018.03.16 |
---|---|
남원읍 신례리 지경 종남천변의 생길이오름 탐방 (0) | 2018.03.08 |
독자봉수가 있었던 오름 독자봉 탐방 (0) | 2017.09.26 |
커다란 통처럼 굼부리가 움푹 팬 통오름 탐방 (0) | 2017.09.26 |
선비의 두건을 닮은 오름 유건에 탐방 (0) | 2017.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