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름을 찾아서/서귀포시 동부권의 오름들

선비의 두건을 닮은 오름 유건에 탐방

유건에오름의 위치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지경의 오름으로, 표선면 성읍 마을과 성산읍 수산 마을을 연결하는 서성일로 중간쯤의 테마파크 베니스랜드 남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름의 유래

옛날 선비들이 쓰던 두건을 제주에서는 유건(儒巾)이라 하는데, 이 오름의 모양새가 마치 유건처럼 생겼다고 하여 선비 ()’와 수건 ()’()’가 합쳐져서 유건에오름이라 한다. 그 밖에 의미가 확실하지 않은 이름으로, ‘이기네오름이라고도 하며, 한자 표기로는 유건악(儒巾岳)’ ‘이근악(伊近岳)’이라 한다.

 

유건에오름을 찾아가는 길

첫째, 성읍리 방향에서는 성읍리 마을 북쪽의 성읍교 다리에서부터 수산리 방향으로 서성일로를 따라 약 4.2km를 가면 남쪽으로 이어지는 소로가 있는 삼거리에 이른다. 여기서 남쪽의 소로를 따라 다시 약 800m를 가면 유건에오름 서쪽의 등반로 입구에 이른다.

 

둘째, 수산리 방향에서는 서성일로와 금백조로의 시작점이 만나는 수산2리입구 교차로 로터리에서부터 성읍리 방향으로 약 4.2km를 가면 남쪽으로 이어지는 소로가 있는 삼거리에 이른다. 여기서 남쪽의 소로를 따라 다시 약 800m를 가면 유건에오름 서쪽의 등반로 입구에 이른다.

 

셋째, 위에서 설명한 삼거리에서 동쪽에 베니스랜드가 있으며, 베니스랜드 정문에서 동쪽으로 400m 지점의 사거리에서 남동쪽으로 이어지는 소로를 따라 약 1km를 가면 유건에오름 동쪽 등반로 입구에 이른다.

 

오름을 오르며

서성일로 아스팔트 도로에서부터 유건에오름 방향으로 향하는 농로는 포장이 되어 있지 않아 땅이 고르지 않고, 중간 중간 큰 물웅덩이들도 있어서 걸어가기에도, 차를 운전해서 가기에도 아주 불편했다.

 

차를 운전하여 혹은 물웅덩이를 피하여, 혹은 물웅덩이를 조심스럽게 넘으며 유건에오름을 향하여 가노라니 넓은 밭 너머로 유건에오름이 점점 다가왔다.

 

오름 남서쪽 등반로 입구에 도착하여 차를 세웠다.

등반로 입구에는 오름의 산책로 공사를 하고 있는 듯 야자매트 묶음들이 쌓여 있었고, 산책로에는 새로 깔아놓은 야자매트가 풋내(?)를 풍기며 깔려 있었다.

정상으로 향하는 기존의 등반로에는 나무 계단이 그대로 남아있었으며, 오름 둘레를 한 바퀴 돌게 되어있는 둘레길이 새로 만들어져서 새 야자매트를 까는 공사를 하고 있었다.

 

기존의 등반로 나무 계단을 따라 정상을 향해 올라갔다.

올라가는 계단길의 양쪽편으로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어서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고 있었다.

 

올라가는 중에 길이 나무 계단길 양쪽으로 다시 오름 둘레를 도는 길이 또 다시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 보였다. 등반로 시작점 좌우에 있던 둘레길 외에 오름 중턱을 도는 또 다른 둘레길이었다.

둘레길의 추락방지용 나무 기둥에 칠을 하는 일꾼들의 모습도 보였다.

 

7분쯤 올라가자 나무 계단길이 끝나고 야자매트를 깔아놓은 길이 숲 사이로 이어지고 있었다.

 

시원한 나무 그늘 사이로 넓게 만들어진 등반로를 따라 올라가니 어느덧 정상부가 눈앞에 다가왔다.

정상부에는 산화경방초소가 설치되어 있었고, 키 큰 나무들이 많지 않아서 전망이 시원하게 바라보였다.

 

남쪽으로는 통오름과 독자봉이 바라보였고, 서쪽으로는 모구리오름과 영주산이 바라보였다. 시야가 깨끗한 날은 한라산 정상까지 보이는 방향인데, 이날은 시야가 흐려서 한라산은 영주산 뒤로 아주 흐릿하게 겨우 윤곽을 드러내고 있었다. 북쪽으로 눈을 돌리니, 손지오름, 다랑쉬, 용눈이오름이 바라보였고, 낭끼오름은 짙은 숲을 이루고 가까이 다가와 보였다.

 

정상부에서 북쪽 방향에는 움푹 들어간 원형 굼부리가 있기는 했지만 숲이 우거져서 굼부리의 모습을 확실히 볼 수는 없었다.

 

정상부에서 주변 경관을 보면서 잠시 쉰 뒤 올라온 등반로와는 반대쪽 편으로 오름 중턱으로 한 바퀴 도는 둘레길을 따라 돌아갔다.

이제야 만들어놓은 둘레길이어서 깎아놓은 흙에는 아직 풀이 나지 않았고, 야자매트도 깨끗한 상태로 깔려있었다.

 

한 바퀴를 돌아서 오름 서쪽에서 올라오는 계단길 등반로와 만나는 지점으로 돌아온 후에 이어서 동쪽 등반로 입구 방향으로 계속 걸어갔다.

둘레길이 산뜻하게 만들어져 있었고, 걸어가면서 남쪽편 경관들도 바라보였다.

 

동쪽편 등반로 입구 가까이 가니 일꾼들이 야자매트 까는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이분들은 열심히 일을 하고 있는데, 나는 배낭을 메고 등산을 하고 있는 것이 어쩐지 미안했다. 그래서 수고하신다는 말씀을 드리고 작업하는 옆으로 조심스럽게 지나갔다.

 

오름 동쪽편 등반로 입구에 도착하였다.

여기에도 서쪽편 등반로 입구에서처럼 매트 까는 작업 도구들과 아직 깔지 않는 매트들이 쌓여 있었다.

 

이제 마지막으로 오름 맨 아래쪽 부분을 따라 만들어 놓은 둘레길 산책로를 따라서 걸었다.

동쪽 등반로 입구에서 양쪽으로 둘레길 산책로가 이어지고 있었지만 한 쪽만을 택하여 걸어야 하기 때문에 북쪽으로 이어지는 둘레길 산책로를 따라 걸었다.

 

중턱의 둘레길 산책로와 똑같이 만들어 놓은 길을 따라 걸어서 맨 처음 등반을 시작했던 서쪽의 등반로 입구로 돌아 나왔다.

 

등반을 마치고 나오는 길에서 뒤돌아서 오름을 바라보니, 연초록 무밭 너머로 진초록 나무들과 잎이 떨어진 누런색의 나무들이 띠를 두른 유건에오름이 다시 찾아오라고 손짓하고 있는 듯 하였다.

 

 

위치 :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지경

굼부리 형태 : 원형

해발높이 190.2m, 자체높이 75m, 둘레 1,760m, 면적 204,487

 

 

오름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