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름을 찾아서/제주시 동부권의 오름들

넓은 굼부리를 가진 오름, 어두름(어대오름) 탐방

어두름의 위치

어두름은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지경의 오름으로, 상덕천 마을과 하덕천 마을을 연결하는 덕평로의 중간쯤에 위치해 있다.

 

이름의 유래

어두름이라는 이름의 뜻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어대오름이라는 이름에서 어두름으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한자로 표기하고 있는 어대(御帶)’는 어거히다, 짐승을 길들이다는 뜻을 가진 ()’와 띠를 두르다는 뜻을 가진 ()’를 쓰는 것으로 보아 오름의 모양새가 짐승을 가두어 기르기 위해 넓게 울타리를 두른 모양과 같아서 붙인 이름일 것이라고 필자 나름대로 추측해 본다.

실제로 이 오름의 넓은 굼부리 안쪽은 경작지로 조성이 되어 있고, 경작지의 한쪽에 연구용으로 노루를 포획하는 시설이 만들어져 있다.

한자 표기로는 어대악(御帶岳)’, ‘어대악(魚垈岳)’, 등으로 쓰고 있다.

 

어두름을 찾아가는 길

첫째, 하덕천 마을의 서쪽 덕평로 도로변에 덕천보건진료소가 있고, 그 앞에서부터 출발하여 덕평로를 따라 상덕천 방향으로 약 1km를 가면 오름 굼부리 입구에 이른다. (중간에 덕평로와 동백로의 시작점이 만나는 삼거리 로터리에서부터는 약 220m) 굼부리 입구로 들어가서 묘지 조성 지역의 북쪽편을 끼고 약 150m를 들어가면 오름 북쪽 등반로가 시작되는 지점에 이른다.

위에서 설명한 오름 입구에서 상덕천 방향으로 약 100m를 가면 오름 서쪽 등반로가 시작되는 지점에 이르며, 이곳에는 도로변에 자동차를 주차해둘 만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둘째, 상덕천 마을의 상덕천 삼거리 로터리에서부터 덕평로를 따라 하덕천 방향으로 약 2km를 가면 오름 서쪽 등반로가 시작되는 지점에 이르며, 이곳에는 도로변에 자동차를 주차해둘 만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 상덕천 방향으로 다시 약 100m를 가면 오름 굼부리 입구에 이르며, 굼부리 입구로 들어가서 묘지 조성 지역의 북쪽편을 끼고 약 150m를 들어가면 오름 북쪽 등반로가 시작되는 지점에 이른다.

 

오름을 오르며

하덕천 마을 서쪽의 동백로와 덕평로의 갈림길인 로터리에서 남쪽으로 보이는 어두름 방향으로 길을 잡아서 서쪽의 덕평로를 따라 약 220m를 가니 길가에 어두름을 알리는 조그마한 표지이 세워져 있는 것이 보였다.

표지판에는 어대오름(어두름)'이라고 쓰여 있었다.

 

표지판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들어가서 공터에 차를 세우고 내렸는데, 더 이상 안내표시나 방향을 가리키는 표지판 세워져 있지 않아서 등반로가 시작되는 지점을 알 수가 없었다.

그런데 굼부리 안쪽의 경작지로 들어갈 수 있는 넓은 길이 있어서 경작지로 들어가 보았다.

경작지는 사방이 오름의 능선으로 크게 둘러싸여 있는 편평한 밭이었다. 무엇을 재배했었는지 농작물을 재배했던 흔적은 있으나 아무 것도 남아있지 않고 휑하니 붉은 흙만 드러나 있었다.

 

경작지 안쪽 어디에서 등반로가 시작되는 지점이 있을까 하여 한 바퀴 돌며 찾아보았지만 오름으로 올라갈 만한 지점이 전혀 보이지 않고, 밭 전체의 둘레에 노루가 넘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그물망이 쳐져 있었다.

그리고 한쪽에는 연구용 노루 포획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경작지에서 돌아 나와서 오름 서쪽편 도로변에서 오름에 올라가는 길이 있을까 하여 천천히 가면서 살펴보았다.

그랬더니 먼젓번 표지판이 세워져 있는 곳에서 남쪽으로 약 100m 쯤 가니 길가에 자동차를 두 대 쯤 세워둘 만한 공간이 있었고, 그곳에서부터 오름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곳이 있는 것을 보았다.

 

그곳 주차 공간에 차를 세워두고 오름으로 올라갔다.

올라가는 길은 아마도 재선충 방제 작업 차량들이 올라 다녔던 듯한 넓은 길이었는데, 길은 처음 올라가기 시작하여 곧바로 남쪽으로 꺾여서 넓은 길이 오름 둘레를 따라 바깥으로 길게 돌아가는 길이 나 있었다.

넓은 길을 따라 오름 바깥으로 돌아가니 넓은 길이 차츰 없어지고 능선 위로 올라갔던 흔적들이 보여서 능선 위로 올라갔다.

 

능선 위로 올라서니 분명 등반로가 있기는 했지만 그 등반로가 온통 무성하게 자란 풀에 덮여서 등반로임을 쉽게 구분할 수가 없었다.

 

풀에 덮여있는 등반로를 따라 정상부를 향하여 올라갔다.

올라가는 내내 등반로를 덮어서 자라고 있는 풀들과 덤불들이 길을 가로막았지만, 헤치고 올라가다보니 어느새 정상이라고 짐작되는 지점에 올라섰다.

그곳에는 나무로 만든 쉼터가 무성하게 자란 풀에 덮여 있는 것이 보였다.

 

배낭을 내려놓고 바지를 내려다보았더니 바지에는 이삭여뀌 씨앗들이 온통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

 

가지고 다니던 전정가위를 꺼내어 쉼터 주변의 풀들을 베어내고 가시덤불들을 잘라내었다. 그랬더니 말끔하게 정리되어 정말 쉴 만한 쉼터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벤치에 앉아서 배낭에서 뜨거운 물과 믹스커피를 꺼내어 여유를 느끼며 천천히 마셨다.

정상부에서는 나무가 울창하게 우거져서 주변의 경관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오름을 덮고 있는 수종들도 소나무와 삼나무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그 아래에는 사스레피나무, 까마귀쪽나무, 청미래덩굴, 두릅나무 등 키 작은 나무들과 덩굴식물들이 가득 자라고 있고, 가을의 정취를 느낄만한 단풍나무나 잎이 단풍으로 물드는 나무들은 보이지 않았다.

 

다시 배낭을 챙겨들고 능선을 따라 계속 걸어갔다.

조금 더 걸어나니 또 다른 나무 벤치 쉼터가 있었는데, 역시 그 주변도 풀과 덤불들이 무성하게 자라서 벤치 위에 낙엽들이 수북하게 쌓여 있었다.

먼젓번과 마찬가지로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해서 말끔하게 만들어 놓고 계속 걸어갔다.

 

정상부에서 동쪽으로, 다시 천천히 휘어져서 북쪽으로 능선을 따라 내려가니 어느새 오름 북쪽으로 나올 수 있었다.

그런데 처음 표지판을 보고 들어왔을 때는 찾지 못하던 오름 안내판이 그곳에 큼직하게 세워져 있는 것이 아닌가!

경작지로 들어가는 곳에 있는 묘지 바깥쪽으로 빙 돌아서 들어가 보았으면 찾을 수 있었을 안내판과 등반로 시작점을 반대쪽에서 올라와서 등반을 마치고 내려왔을 때에야 찾을 수 있었던 것이다.

 

오름 입구를 나타내는 표지판도 세워져 있고, 이렇게 안내판도 세워져 있고, 정상부에는 벤치로 쉼터까지 마련해 놓았는데도 그 후에는 관리를 하지 않고, 이 오름을 등반하는 사람들도 거의 없어서 모든 것이 방치되어 있음을 보니 오름을 사랑하는 나의 입장에서는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었다.

 

위치 :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지경

굼부리 형태 : 말굽형(북서쪽)

해발높이 210.5m, 자체높이 55m, 둘레 1,732m, 면적 117,905

 

 

오름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