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름을 찾아서/제주시 동부권의 오름들

웃선족이와 이웃해 있는 송당리 지경의 작은 오름 알선족이 탐방 ▲ 알선족이오름의 위치 알선족이오름은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지경의 오름으로, 번영로와 비자림로가 만나는 대천동 사거리에서부터 송당리 본 마을로 가는 길의 도로변에 위치해 있으며, 서쪽에 웃선족이오름과 바로 이웃하여 한 오름처럼 붙어 있다. ▲ 이름의 유래 선족이오름의 이름이 왜 이렇게 불리게 됐는지 그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선족이’라는 사람이 이 오름 근처에 살았음으로 인하여 불리게 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또한 이웃하여 나란히 붙어있는 두 오름 중 위쪽에 있는 오름을 ‘웃선족이’, 아래쪽에 있는 오름을 ‘알선족이’로 구분하여 부르고 있다. 한자 표기로는 ‘하선족이악(下仙足伊岳)’으로 쓰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주변의 지명들 중에는 근처에 살았던 사람의 이름에 따라서 지명 이름이 .. 더보기
고양이가 웅크리고 누워있는 형태를 하고 있는 괴살메(묘산봉) 탐방 ▲ 괴살메의 위치 괴살메는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오름이다. 이 오름의 북동쪽에는 같은 김녕리 지경의 오름인 삿갓오름이 위치하고 있다. ▲ 이름의 유래 이 오름은 남쪽으로 터진 말굽형 굼부리를 감싸고 있는 모습을 한 것이 고양이가 등을 구부정하게 구부리고 잠은 자고 있는 것 같다고도 하고, 이 오름에 고양이가 살았다고 하는데서 오름이 이름을 고양이와 관련하여 불리게 되었다. 즉, 고양이를 뜻하는 옛말인 ‘괴’와 살다는 뜻을 가진 ‘살’과 산을 뜻하는 ‘메’가 합성하여 ‘괴살메’, 또는 ‘고살미’로 불린다. 한자로는 ‘묘산봉(猫山峰)’이라 하고 있다. ▲ 괴살메를 찾아가는 길 첫째, 김녕리 마을의 김녕중학교 남쪽 울타리 앞의 김녕중학교 앞 교차로 사거리에서부터 일주동로를 따라 서쪽으로 .. 더보기
삿갓 모양을 하고 있는 오름, 김녕리 삿갓오름 탐방 ▲ 삿갓오름의 위치 삿갓오름은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지경의 오름으로, 김녕 마을 남쪽을 지나는 일주동로 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오름의 남서쪽에는 같은 김녕리 지경의 오름인 괴살메가 위치하고 있다. 삿갓오름은 원형 굼부리 안에는 경작지로 조성되어 있고, 일주도로에 접한 북사면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면적에 묘지가 조성되어 있다. ▲ 이름의 유래 오름의 모양새가 머리에 쓰는 삿갓 모양이라고 하여 ‘삿갓오름’이라고 하며, 옛날에 오름 위에 봉수대가 설치되어서 망을 보았다고 하여 ‘망동산’이라고도 한다. 한자 표기로는 ‘입산봉(笠山峰, 立傘峰, 笠傘峰)을 쓰고 있다. ▲ 삿갓오름을 찾아가는 길 김녕리 마을의 김녕중학교 남쪽을 지나는 일주동로에서 남동쪽으로 삿갓오름이 가깝게 바라보이므로, 찾아가기가 쉽.. 더보기
커다란 방아 모양의 오름 큰방에오름과 그 옆의 족은방에오름 탐방 ▲ 큰방에오름과 족은방에오름의 위치 큰방에오름과 족은방에오름은 이웃하여 함께 붙어 있는 오름으로,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지경에 위치해 있으며, 교래리 마을에서 미래로를 따라 번영로 방향으로 가다가 도로 동쪽편으로 보이는 야트막한 오름이다. ▲ 이름의 유래 곡식을 찧는 방아를 제주어로는 ‘방에’라고 하는데, 오름의 모양이 방에와 같다고 하여 방에오름이라고 하며, 굼부리가 넓고 면적이 큰 오름을 ‘큰방에오름’이라 하고, 그 곁의 작은 오름은 ‘족은방에오름’이라고 한다. 방에의 모양이 움푹 파인 원형인 것처럼 큰방에오름은 원형 굼부리를 가진 오름이나, 족은방에오름은 말굽형 굼부리를 가진 오름이다. 그렇지만 큰방에오름에 견주어 족은방에오름으로 불리고 있다. 한자로는 절구를 뜻하는 한자인 ‘구(臼)’를 써서 큰방.. 더보기
흙이 붉은 색을 띤 흙붉은오름(주체오름)> ▲ 흙붉은오름(주체오름)의 위치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지경의 오름으로, 상덕천 마을에서 북쪽으로 직선거리 약 1km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 오름의 북쪽에는 보석광물, 화석, 연 테마 박물관인 ‘한울랜드’가 자리하고 있다. ▲ 이름의 유래 이 오름을 ‘흙붉은오름’이라 부르는데, 그 까닭은 오름의 토양 성분이 ‘Scoria(스콜리아)’, 즉 제주에서 말하는 ‘송이’로 이루어져서 붉게 보이기 때문에 ‘흙붉은오름’이라 하며, 이를 한자로는 ‘붉을 주(朱)’와 ‘흙 토(土)’를 써서 ‘주토악(朱土岳)’이라고 표기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주체오름’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렇게 부르는 까닭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로는, 흙붉은오름의 한자 표기인 ‘주토악’을 ‘주토오름’으로 부르다가.. 더보기
덕천리 중산간동로 변 북오름 등반 ▲ 북오름의 위치 북오름은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지경의 오름으로, 상덕천 마을 서쪽 일주도로 변에 위치하고 있다. ▲ 이름의 유래 오름의 모양새가 악기의 일종인 북을 닮았다고 하여 ‘북오름’이라 불리고 있으며, 한자로는 ‘고악(鼓岳)’이라 표기하고 있다. ▲ 북오름을 찾아가는 길 첫째, 상덕천 마을의 상덕천 삼거리 로터리에서부터 서쪽의 선흘리 방향으로 일주동로를 따라 약 850m를 가면 북오름 남쪽의 등반로 입구에 이른다. 둘째, 조천읍 선흘리 마을의 알바매기오름 동쪽 삼거리 로터리에서부터 동쪽의 덕천리와 송당리 방향으로 일주동로를 따라 약 2.1km를 가면 북오름 남쪽의 등반로 입구에 이른다. 셋째, 북오름 남쪽 등반로 입구에서 서쪽 100m 지점에 오름 서쪽 기슭을 따라 이어지는 소로가 있으며, 이 .. 더보기
작은 그릇 종지를 닮은 작은 오름, 종제기오름 탐방 ▲ 종제기오름의 위치 종제기오름은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지경의 오름으로, 상덕천 마을 동쪽 일주동로 변에 위치해 있다. ▲ 이름의 유래 오름의 모양새가 종제기를 엎어놓은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종제기’는 작은 그릇인 종지를 일컫는 제주어이다. 또한 이 오름의 남쪽에 위치한 식은이오름과 이웃하고 있음으로 하여 ‘작은 식은이’라는 의미로 ‘알식은이’라고도 하며, 이를 한자로 표기하여 ‘하씨근악(下氏近岳)’이라 하고 있다. ▲ 종제기오름을 찾아가는 길 첫째, 상덕천 마을의 상덕천 삼거리 로터리에서부터 동쪽의 송당리 방향으로 일주동로를 따라 약 1.1km를 가면 종제기오름 남쪽 등반로 입구에 이른다. 둘째, 송당리 마을에서부터 찾아갈 때는 송당리사무소 서쪽 송당 사거리에서부터 서쪽의 덕천리 방향으로.. 더보기
넓은 굼부리를 가진 오름, 어두름(어대오름) 탐방 ▲ 어두름의 위치 어두름은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지경의 오름으로, 상덕천 마을과 하덕천 마을을 연결하는 덕평로의 중간쯤에 위치해 있다. ▲ 이름의 유래 ‘어두름’이라는 이름의 뜻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어대오름’이라는 이름에서 ‘어두름’으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한자로 표기하고 있는 ‘어대(御帶)’는 어거히다, 짐승을 길들이다는 뜻을 가진 ‘어(御)’와 띠를 두르다는 뜻을 가진 ‘대(帶)’를 쓰는 것으로 보아 오름의 모양새가 짐승을 가두어 기르기 위해 넓게 울타리를 두른 모양과 같아서 붙인 이름일 것이라고 필자 나름대로 추측해 본다. 실제로 이 오름의 넓은 굼부리 안쪽은 경작지로 조성이 되어 있고, 경작지의 한쪽에 연구용으로 노루를 포획하는 시설이 만들어져 있다. 한자 표기로는 ‘어대악(御帶.. 더보기
바람 부는 날에 탐방한 송당 뒤꾸부니 ▲ 뒤꾸부니의 위치 뒤꾸부니는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지경의 오름으로, 송당리 사무소를 기준으로 북동쪽으로 직선거리 약 1.3km지점에 위치해 있다. ▲ 이름의 유래 오름의 모양새가 뒤쪽으로 크게 구부러진 모양이라 하여 ‘뒤굽은이’, 또는 ‘귀곱은이’라고 하며, ‘뒤굽은이’가 ‘뒤꾸부니’로 변형되어 불리고 있다. 한자로는 ‘후곡악(後曲岳))’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뒤꾸부니라고 불리고 있는 다른 오름으로는 성산읍 수산리 지경의 뒤꾸부니가 있다. ▲ 뒤꾸부니를 찾아가는 길 송당리 사무소 서쪽 송당사거리에서부터 중산간동로를 따라 서쪽으로 약 470m를 가면 중산간동로와 김송로가 갈라지는 삼거리에 이르며, 북쪽으로 이어지는 김송로를 따라 다시 약 1.1km를 가면 뒤꾸부니오름 북동쪽 기슭이 도로와 면한 지점에 이.. 더보기
거칠어서 거친오름인가? 거친오름 등반하기 ▲ 거친오름의 위치 거친오름은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와 덕천리 지경에 걸쳐 있는 오름으로, 체오름의 서쪽, 거슨새미오름에서는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 이름의 유래 이 오름의 이름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오름의 모양새가 거칠게 보인다고 하여 ‘거친오름’이라고 하며, 둘째는, 예전에 제주목과 정의현을 오고갈 때에 이 오름 기슭을 거쳐서 갔다고 하여 ‘거친오름’이라고 한다. 오 오름의 북동쪽에는 이 오름 기슭을 거쳐 가다가 잠시 쉬면서 말에게 물을 먹였다고 하는 ‘몰쉬운 못’이 있다. 한자로는 소리를 그대로 따서 표기한 ‘거친악(巨親惡)’과 거칠다는 뜻을 나타내는 ‘황악(荒岳)’으로 쓰고 있다. ▲ 거친오름을 찾아가는 길 번영로와 비자림로가 만나는 대천교차로 사거리에서 송당 쪽으로 약 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