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름을 찾아서/제주시 동부권의 오름들

미래로의 자연석부작 동쪽편에 있는 대천이오름 탐방 ▲ 대천이오름의 위치 대천이오름은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지경의 오름으로, 번영로의 대흘교차로와 교래리 간의 연결 도로인 미래로의 중간 지점 쯤의 도로 동쪽에 위치해 있다. ▲ 이름의 유래 이 오름의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이름의 뜻이 큰 내를 뜻하는 것으로 보아 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기도 하나, 가장 가까이 있는 큰 내는 직선거리 약 1.5km 남쪽으로 흐르는 천미천으로 거리가 멀므로 큰 내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제주 동부 지역 오름들 중에 사람 이름이 오름 이름으로 불리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아서,( 이 오름 기슭에 대천이라는 사람이 살았음으로 인해 붙여진 이름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고 있다. 한자로는 ‘대천악(大川岳)’, ‘대천이악(大川伊岳.. 더보기
것구리오름, 혹은 꾀꼬리오름 탐방 ▲ 것구리오름의 위치 번영로의 대흘교차로 사거리(길섶나그네 근처 교차로)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미래로를 따라가면 도로 서쪽으로 바로 보이는 오름이며, 이 오름의 서쪽 기슭은 에코랜드 골프장이 맞닿아 있다. ▲ 이름의 유래 이 오름의 이름은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첫째는 ‘것구리오름’이라고 불리는데, 주변의 오름들은 대부분 한라산 쪽은 높고 바다 쪽은 낮은데 비해 이 오름은 한라산 쪽은 낮고 바다 쪽은 지형이 높아서 거꾸로 누워있는 오름이라고 하여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를 한자로는 ‘거구리악(巨口里岳)’이라고 한다. 두 번째는 옛날에 꾀꼬리가 많이 서식했었기 때문에 ‘꾀꼬리오름’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으며, 이를 한자 표기로 ‘앵악(鶯岳)’이라 한다. 세 번째는 조선시대에 이 오름의 북쪽 기슭에 동원.. 더보기
이제는 나무가 울창해 숲을 이루어버린 선흘 민오름 탐방 ▲ 민오름의 위치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지경의 오름으로, 선흘리 선인동 마을 번영로 도로 서쪽 건너편에 있고, 부대오름의 서쪽, 도깨비공원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 ▲ 이름의 유래 민오름이라는 이름을 가진 오름들은 모두 옛날에 나무가 없이 대부분 풀밭으로 이루어진 오름에 붙여지는 이름이다. 이 오름도 옛날에는 나무가 없는 민둥오름이었으므로 ‘민오름’이라 불리어졌다. 그러나 지금은 오름 전체가 나무가 우거져서 풀밭으로만 이루어진 부분은 오히려 찾기 힘든 오름이 되었다. 한자 표기로는 ‘문악(文岳)’, ‘민악(敏岳)’으로 쓴다. 이 외에 민오름이라고 이름 붙여진 오름으로는 구좌읍 송당리의 민오름, 제주시 봉개동의 민오름, 제주시 오라동의 민오름, 남원읍 수망리의 민오름 등이 있다. ▲ 민오름을 찾아가는 길 첫.. 더보기
골체를 닮은 작은 오름 골체오름 탐방 ▲ 골체오름의 위치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지경의 오름으로, 선흘리 선인동 마을 번영로 도로 서쪽 건너편에 있는 작은 오름으로, 부대오름에서는 북서쪽, 민오름에서는 동쪽에 있다. ▲ 이름의 유래 남서쪽으로 터진 말굽형 굼부리를 가진 오름의 모양새가 삼태기를 이르는 제주말인 ‘골체’를 닮은 형태라 하여 ‘골체오름’이라고 한다. (※ ‘골’의 ㅗ는 아래아(•)임) 또는 오름의 정상부가 시원하게 터져서 옛날부터 망을 보았던 오름이기 때문에 ‘망오름’이라고도 함. ▲ 골체오름을 찾아가는 길 첫째, 조천읍 선흘리와 교래리 연결 도로인 선교로와 번영로가 만나는 선화교차로 사거리(거문오름 서쪽 교차로)에서 선교로를 따라 남서쪽으로 약 680m를 가면 골체오름 남쪽 삼거리에 이르며, 여기서 북쪽으로 꺾어들어 다시 110.. 더보기
부소오름이라고도 불리는 새몰메 탐방하기 ▲ 새몰메의 위치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지경의 오름으로, 거문오름 맞은편 부대오름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 ▲ 이름의 유래 이 오름을 옛날부터 불러왔던 고유의 이름은 ‘새몰메’이다. 이 경우 ‘몰’의 ‘ㅗ’는 ‘아래아( • )를 쓰는 글자이다. ’새몰‘은 길들여지지 않는 생말을 뜻하는데, 이 오름 근처의 들판에서 새몰을 길들였기 때문에 ’새몰‘에 산을 뜻하는 ’메‘가 붙어서 ’새몰메‘라고 불리웠다. 이 오름을 근래에는 흔히들 ‘부소오름’이라고 부르는데, 부소오름이라 불리게 된 것은 북쪽에 이웃하고 있는 오름이 부대오름인 것에 견주어 크고 작은 개념을 도입하여 ‘부소오름’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사실은 이 오름의 해발높이와 자체 높이는 부대오름보다 높다. 또 다른 이름으로 옛날 관복에 갖추어 입는 모자인 사.. 더보기
선흘리 번영로변에 위치한 부대오름 탐방 ▲ 부대오름의 위치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지경의 오름으로, 번영로와 선교로가 만나는 선화교차로 남쪽에 위치해 있다. 번영로를 사이에 두고 거문오름과 마주 보고 있고, 남쪽에는 새몰메(부소오름), 동쪽에는 골체오름이 이웃해 있다. ▲ 이름의 유래 일제강점기 때 이 오름의 동쪽으로 팬 굼부리에 일본군 부대가 주둔했었기 때문에 부대오름이라고 불리고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한자 표기로는 ‘扶大岳, 富大岳, 浮大岳, 夫大岳’ 등 여러 가지로 쓰고 있다. ▲ 부대오름을 찾아가는 길 첫째, 조천읍 선흘리와 교래리 연결 도로인 선교로와 번영로가 만나는 선화교차로 사거리(거문오름 서쪽 교차로)에서 대천동과 성읍리 방향으로 번영로를 따라 약 400m를 가면 곧바로 길 서쪽에 제주오름승마랜드가 있으며, 승마랜드 앞에.. 더보기
정상부에 큰 바위를 올려놓고 앉아있는 큰돌리미 탐방 ▲ 큰돌리미의 위치 큰돌리미오름은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지경의 오름이다. 그러나 이 오름과 함께 이웃하고 있는 비치미오름과 더불어 송당 마을과는 직선거리로 약 5km 쯤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해 있으며, 오히려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2리 마을 북쪽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으므로 성읍2리 지경이라고 잘못 알기 쉬운 오름이다. 큰돌리미오름의 남서쪽에는 낮은 능선을 사이에 두고 비치미오름이 붙어 있으며, 북서쪽에는 민오름, 북동쪽에는 족은돌리미, 남쪽에는 표선면 성읍2리 지경의 개오름이 이웃해 있다. ▲ 이름의 유래 이 오름을 돌리미라고 부르는 데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오름의 등성이가 둥그렇게 둘러져 있기 때문에 돌려져 있다는 뜻으로 “돌리미”라 부른다고 하며, 다른 하나는 오름의 정상부에 큰 바위가 .. 더보기
꿩이 날아가는 형상의 비치미오름 탐방 ▲ 비치미오름의 위치 비치미오름은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지경의 오름이다. 그러나 이 오름과 함께 이웃하고 있는 큰돌리미오름과 더불어 송당 마을과는 직선거리로 약 5km 쯤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해 있으며, 오히려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2리 마을 북쪽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으므로 성읍2리 지경이라고 잘못 알기 쉬운 오름이다. 비치미오름의 북동쪽에는 큰돌리미오름이 낮은 능선을 사이에 두고 붙어있으며, 북쪽에는 민오름, 남서쪽에는 성불오름이 있고, 남동쪽에는 표선면 성읍2리 지경의 개오름이 이웃해 있다. ▲ 이름의 유래 비치미는 꿩이 나는 형상을 한 오름이라는 뜻으로 산비둘기를 뜻하는 제주말인 “비치”에 산을 뜻하는 제주말 “메”가 변형된 “미”가 붙어서 “비치미”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하며, “비치메”.. 더보기
아름다운 해변을 품고 있는 오름 서우봉 탐방 ▲ 서우봉의 위치 서우봉은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와 북촌리의 경계에 있는 오름으로, 오름의 동쪽은 북촌리이며, 서쪽은 함덕리 지경에 속한 바닷가에 면한 오름이다. 이 오름의 서쪽 인접한 바닷가에는 유명 해수욕장이 있는데, 이 오름의 이름을 따서 ‘함덕서우봉해변’이라 하고 있다. ▲ 이름의 유래 서쪽에 있는 산이란 뜻에서 ‘서산(西山)’, ‘서뫼’ 또는 ‘서모’라고 했다고 한다. 또한 이 오름의 모양새가 바다에서 기어 올라온 무소(코뿔소)의 형상이어서 무소를 뜻하는 ‘서(犀)’와 소를 뜻하는 한자어 ‘우(牛)’를 합쳐서 ‘서우(서우)’라고 했으며, 이 오름의 북쪽 봉우리에 봉수대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서우봉(犀牛峰)‘이라 부르게 되었고, ’서모봉’은 방향을 뜻하는 ‘서(西)’와 산을 뜻하는 우리말 ‘뫼(모).. 더보기
알바메기오름의 형제인 웃바메기오름 탐방하기 ▲ 웃바매기오름의 위치 웃바매기오름은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지경의 오름으로 선흘리 선인동 마을의 남동쪽에 있으며, 남쪽의 알바매기오름과 남북으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로 위치해 있다. 이 오름의 북서쪽에는 복합테마공원 다희연(동굴카페)이, 서쪽에는 선녀와 나무꾼 테마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 이름의 유래 오름의 모습이 밤알같이 생겼다는 데서 바매기오름이라 부르는데, 남쪽에 있는 오름을 “웃바매기오름”이라 하고, 북쪽 편의 오름을 “알바매기오름”이라고 부른다.(이곳에서는 남쪽편이 지형이 높아 남쪽이 위, 북쪽이 아래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오름 입구에 세워져 있는 안내판에는 위의 이름의 유래가 민간어원설이어서 밤(栗)과의 연관성은 확실하지 않으며, 옛 문헌과 옛 지도에 破磨只岳(파마지악), 夜漠岳(야.. 더보기